[시사/일반상식] 미래부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 첫 걸음 & 공공부문 비정규직 무기계약직 전환
에듀윌 시사/일반상식 |
미래부 '창조경제 생테계 조성' 첫 걸음 |
박근혜 정부가 핵심 국정기조로 내세우고 있는 '창조경제'의 개념이 모호하다는 비판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미래창조과학부가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을 위한 구체적 방안 마련에 나섰다. 4월 8일 미래부는 '2013년도 연구개발특구육성사업'을 각 특구별로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미래부는 이번 사업으로 각 지역의 연구개발특구가 개발한 기술을 사업화하고 창업을 촉진해 일자리를 늘리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미래부는 대덕, 광주, 대구, 부산 특구의 사업비로 총 617억원을 투입하고 작년 500억 규모였던 '연구개발 일자리창출펀드'를 올해 1000억원으로 증액해 벤처투자를 활성화하기로 했다. 구체적 방안으로는 유망한 공공기술의 발굴 및 이전 지원, 이전된 기술의 신,학,연 공동 기술사업화 촉진, 연구소기업 설립 및 창업 활성화, 디자인과 기술 및 경영애로 해결 지원 등이 꼽혔다.
에듀윌 시사/일반상식 |
공공부문 비정규직 무기계약직 전환 |
정부가 공공기관에서 상시, 지속적 업무를 수행하는 비정규직 근로자를 2015년까지 전원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공공부문 전체 비정규직은 25만 9000명이며 작년 2만 2000여명이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됐다. 고용노동부는 2011년 마련한 공공부문 비정규직 고용개선 대책 및 추진지침에 따라 비정규직 근로자의 무기계약직 전환을 추진해왔다. 고용노동부는 보수 등 처우개선을 위해 관계부처와 협의를 지속하고 학교 비정규직 등 고용 형태별 특성을 반영해 직접고용에 필요한 컨설팅을 제공할 방침이다. 한편 지난해 공공기관에 종사하는 비정규직의 월평균 임금은 기간제근로자가 171만원, 시간제근로자 81만원으로 민간부문과 비슷하거나 다소 높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시사/일반상식 퀴즈 |
|
(퀴즈) 다음 중 마이크로칩의 밀도가 18개월마다 2배로 늘어난다는 법칙은?
(정답:무어의법칙)
①메트칼프의 법칙 ②황의 법칙 ③무어의 법칙 ④허블의 법칙
(퀴즈) IQ 외에도 개개인의 능력과 자질 등을 평가하기 위한 각종 지수들이 있다. 그 중 타인과의 교감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지수는? (정답:SQ)
①CQ ②EQ ③MQ ④SQ
*위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더 많은 시사/일반상식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