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에듀윌 시사/일반상식

 스큐오모픽 디자인(Skeuomorphic Design)

 

 

스큐오모픽 디자인이란 한 제품의 필요한 기능을 위해 고안된 디자인이 이후 재료나 매체의 변화에 따라 재구실을 못하게 되더라도 특별한 기능 없이 미적가치를 높이는 용도로 재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스어로 Skeuos는 Vessel(용기) 또는 Tool(도구), morphe는 Shape(형태)를 의미한다. 즉 스큐오모픽 디자인을 의역하면 '도구의 형태를 그대로 따라간 디자인' 정도로 풀이할 수 있다.

 

지금은 쓰이지 않는 3.5인치 플로피디스크 모양이 '저장'을 뜻하는 아이콘 모양에 쓰이는 것, 샹들리에에 꼽힌 촛불 모양의 전구, 나무바퀴의 살 모양을 따라한 자동차 휠, 디지털 카메라의 인위적인 셔터소리 등이 스큐오모픽 디자인의 사례다. 스큐오모픽 디자인은 특히 디지털 제품에서 아날로그적 사용감을 그대로 적용해 제품에 친밀감을 높이기 위한 의도에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사물을 그대로 보여주고 직관적으로 그 기능을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하지만 창의적 디자인을 기대하기는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애플에서 해임된 포스톨 전 수석부사장은 애플 제품에서 스큐오모픽 디자인을 고집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듀윌 시사/일반상식

 그림자 금융(Shadow Banking System)

 

 

그림자 금융은 은행의 일반적인 대출 외에 '고위험-고수익' 채권에 투자하는 비은행 금융기관들을 통해서 새로운 유동성이 창출되는 시스템을 말한다. 미국과 유럽의 주요 투자은행들은 그동안 고수익을 얻기 위해 자회사 성격의 '구조화투자회사(SIV, Structured Investment Vehicle)'를 만들어 서브프라임 모기지와 이에 연계된 자산담보부채권 등에 주로 투자해왔다. 하지만 SIV는 별도의 회사여서 따로 규제를 받지 않았고 이들의 운용 내역은 모회사인 투자은행의 재무재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투자은행의 장부를 아무리 뒤지더라도 SIV의 손실을 파악하기 어려운 구조였으며 현재의 신용위기의 본질은 바로 이와 같은 그림자 금융 때문에 나온 것이란 지적이 많았다. 이 같은 그림자 금융의 개념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위기가 수면 위로 드러난 2008년 영국의 이코노미스트지가 처음으로 쓰면서 유행하기 시작했다. 금융위원회는 최근 MMF(Money Market Fund, 머니마켓펀드)의 유동성비율 도입 등을 골자로 한 '단기 자산운용 상품 정책 방향'을 발표하면서 그림자 금융에 대한 규제를 대폭 강화 하기로 했다.

 

 

시사/일반상식퀴즈

 

(퀴즈) 아이 타워는 이 사무국이 들어설 국제기구 전용빌딩의 명칭인데 이 사무국은 무엇인가?(정답:녹색기후기금) 

①G20 사무국 ②유엔사무국 ③평가인증사무국 ④녹색기후기금

 

(퀴즈)다음 중 '유권자의 사고를 자신에게 유리한 인식 틀에 가두는 선거 전략'과 밀접한 이론은?(정답:프레이밍)

 ①프라이밍 ②프레이밍 ③의제설정 ④침묵의 나선

 

 

* 위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더 많은 시사/일반상식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