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에듀윌 시사/일반상식 |
디지털 마오이즘(Digital Maoism) |
디지털 마오이즘은 인터넷 집단주의를 일컫는 용어이다. 최근 인터넷 상에서 급속히 확산되는 감성적 집단주의의 위험서을 극단적 좌파나 우파, 중국의 마오이즘(마오쩌둥 사상), 독일의 나치즘과 같은 집단주의 운동에 빗대어 나타낸 용어이다. 1989년 '가상현실(Virtural Reality)'이라는 말은 처음으로 만들었던 미국의 미래학자 재런 러니어(Jaron Lanier)가 2006년 창안한 개념이다. 러니어는 당시 인터넷 학술사이트 '에지(Edge)'에 인터넷 집단주의의 위험을 경고하는 장문의 글을 기고해 큰 반향을 일으켰다.
러니어는 이 글에서 "인터넷에서 다수를 형성하는 권력은 '우리는 결코 틀릴 수 없다'는 '절대 진실의 오류'에 빠져 있다"며 "인터넷에서 다수를 형성하는 주장의 질을 검증하고 소수 의견도 전체 의사결정 과정에서 반영될 수 있는 메커니즘이 확보돼야 집단주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에듀윌 시사/일반상식 콜드 터키(Cold Turkey)
콜드 터키는 원래 마약 중독자나 흡연자가 대체 약물을 사용하거나 흡연량 등을 조절하지 않고 갑작스럽게 곧바로 중독행위를 끊는 것을 말한다. 이는 점진주의(gradualism)와 대비되는 것으로, 중앙은행이 긴축 통화정책을 사전에 예고 없이 수행하는 상황을 콜드 터키에 비유하기도 한다. 콜드 터키의 사전적 의미는 '차가운 칠면조'라는 뜻으로 이를 사용하면 미리 준비하지 않고도 갑자기 칠면조 샌드위치를 만들 수 있다는데서 유래됐다.
시사/일반상식 퀴즈
(퀴즈)다음 중 핵 조약과 관련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정답:CTBI란 핵실험 규제를 위해 설립된 국제조약으로 파키스탄, 북한, 이란, 인도 등이 서명하였다.)
①제네바합의는 IAEA가 최초로 북한에 대한 핵사찰을 실시한 이후 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1994년 미국과 북한이 체결한 합의서이다.
②제네바합의의 약속 이행을 위해 미구은 KEDO를 설립하여 북한에 원자로 2기를 제공하였다.
③CTBT란 핵실험 규제를 위해 설립된 국제조약으로 파키스탄, 북한, 이란, 인도 등이 서명하였다.
④FMCT는 핵분영을 하는 무기용 우라늄 농축과 플루토늄 등의 생산을 금지하는 조약으로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가 이에 동참하여 생산을 중지하였다.
(퀴즈)다음 중 용어 설명이 옳은 것은?(정답:의정서:국가 간의 조약으로, 의사록과 같은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①아그레망: 외교관계에서 비우호적 인물, 기피인물을 선언하는 것을 말한다.
②페르소나 논 그라타: 동의 내지 승인이라는 뜻으로, 외교사절을 파견할 때 상대접수국의 사전 동의가 필수적인데 이러한 동의를 가리키는 말이다.
③MOU: 외교에 있어서 상대국과 행한 토의의 기록으로, 상대방에 대한 질의, 의뢰, 통고 및 상대방 구술서에 대한 회신에 쓰이는 외교문서를 말한다.
④정답:의정서:국가 간의 조약으로, 의사록과 같은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위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더 많은 시사/일반상식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시사상식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사/일반상식] 사실상 지배력(De Facto Control) & FIU 법 (4) | 2013.02.06 |
---|---|
[시사/일반상식] 카 푸어(Car Poor) & 리쇼어링(Reshoring) (0) | 2013.02.05 |
[시사/일반상식]저가항공(LCC, Low Cost Carrier) & 인터넷 부머(Internet Boomer) (1) | 2013.02.04 |
[시사/일반상식] ARPU(Average Revenue Per User) & 이그조(IGZO) (3) | 2013.02.04 |
[시사/일반상식] 피구효과(Pigou Effect) & 재정심연(Fiscal Abyss) (1) | 2013.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