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에듀윌 시사/일반상식

 한국 브랜드가치, 1조6000억달러로 세계 9위

 

 

한국의 브랜드 자산가치가 1조6000억달러(약 1734조800억원)로 세계 주요 39개국 중 9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월 27일 산업정책연구원은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2012 코리아 브랜드 컨퍼런스'에서 이 같은 국가, 도시, 기업별 브랜드가치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국가 브랜드가치 1위는 미국으로 약 12조2000억달러의 가치를 지녔고 독일이 7조4000억달러로 2위, 일본이 3조4000억달러로 3위를 기록했다. 국가 브랜드가치는 산업정책연구원이 개별 국가에 대한 심리적 친근도와 경쟁력 설문, 제품과 서비스 수출액 등을 반영해 산출한다. 최근 3년간 지역별 국가 브랜드가치는 아시아, 대양주 지역이 19.6%, 미주는 7.4%, 유럽은 7.0%씩 상승했다. 중국은 21.8%, 인도는 47.2%나 증가했으며 한국은 16.5%의 상승률을 보였다.

 

국내 도시 중에서는 서울의 브랜드가치가 384조5000억원으로 가장 높았고 부산(87조1000억원)과 인천(65조5000억원)이 뒤를 이었다. 기업 브랜드가치는 삼성전자가 95조원으로 13년 연속 국내 기업 중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현대차(30조원), LG전자(22조원)가 뒤를 이었다. 산업연구원 측은 "국가 브랜드가치 상승은 기업의 해외진출에 많은 도움을 주고 기업 브랜드가치 향상은 국가 브랜드가치를 높이기 때문에 시너지 효과 창출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한편 올해 국가 브랜드가치 상승에 가장 많이 기여한 인물로는 가수 싸이가 선정됐다.

 

 

에듀윌 시사/일반상식

 화이트칼라가 블루칼라보다 흡연율 높아

 

 

국내에서 화이트칼라의 범주에 들어가는 서비스, 판매직의 흡연율이 블루칼라 직종인 기능원, 장치기계조작, 조립조종사나 단순 노무자보다도 높게 나타났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국내 19~34세의 청장년 층 가운데 서비스, 판매직의 흡연율은 관리, 전문직의 곱절 이상 높은것으로 측정되었다.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김성렬 교수팀은 2008~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흡연상태여부와 생체시료를 제공한 9283명의 표본 자료를 대상으로 직업군별 흡연율을 보정해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1월 22일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19~34세 성인 남성의 직종별 단순 흡연율은 서비스, 판매직인 62.6%로 기능원, 장치기계조작, 조립종사자(62.2%)나 단순 노무자(50.9%)보다 비슷하거나 높았다. 바면 관리, 전문직의 흡연율은 48%로 가장 낮았으며, 사무직 종사자는 50.7%의 흡연율을 보였다.이런 현상은 19~34세 여성에게서 더욱 뚜렷이 나타났다. 여성 서비스, 판매직의 단순 흡연율은 23%로 관리, 전문직(6.5%), 사무직(11.7%), 기능원, 장치기계조작, 조립종사자(9.5%), 단순 노무자(16.7%) 등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이런 분석결과를 담은 논문은 국제학술지 '아태 공중보건저널(Asia-Pacific Journal of Public Health)'최신호에 게재됐다.

 

시사/일반상식 퀴즈

(퀴즈)스위스에 본부를 둔 뉴세븐원더스 재단이 2011년 최종 결정한 '세계 7대 자연경관'에 속하지 않는 곳은?(정답:몰디브)

①몰디브

②제주도

③테이블 산

④코모도 국립공원

 

(퀴즈)다음 중 나머지 보기와 작가가 다른 소설은?(정답:토지)

①한강 ②토지 ③아리랑 ④태백산맥

 

 

*위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더 많은 시사/일반상식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