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우주항공국(NASA)의 과학자 도널드 케슬러가 1978년 우주쓰레기 문제가 일으킬 수 있는 최악의 시나리오로써 주장한 것으로 우주쓰레기(Orbital Debris)의 밀도가 한계치에 달하면 우주쓰레기의 파편들이 서로 연쇄적인 충돌을 일으키며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지구 궤도 전체를 뒤덮을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케슬러 신드롬이 현실화되면 우주선이나 인공위성이 다니는 항로를 막을 뿐만 아니라 우주선의 발사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우주궤도를 떠도는 파편은 그 속도가 시속 2만8000km에 달하기 때문에 모래알만한 크기의 파편이라도 시속 160km로 날아가는 볼링공과 맞먹는 위력을 지녔다고 합니다. 최근 외신은 NASA가 우주쓰레기가 위성이나 지구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레이저로 우주..
시사상식 이모저모
2011. 9. 19. 09:43